Wednesday, November 23, 2011

Simplicity-Complexity

북마크 용

"문제가 복잡하면 할수록, 그리고 정황이 복잡하면 할수록, 우리는 더욱더 상이한 관점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물이 한꺼번에 움직이는 복잡한 방식을 이해하는 것, 그중에서도 특히 물이 장애물들이나 방파제 같은 곳에 부딪쳐 휘돌아나가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움직이는 복잡한 방식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빠르게 흐르는 강 한복판에 침몰해 있는 배나 강바닥을 굴러가는 둥그런 큰 돌 같은 것은 강의 흐름이 지닌 에너지를 재분배해서 소용돌이와 교란 상태를 증가시키고 속도를 죽임으로써 강물의 가장 강력한 흐름조차도 어지럽게 만든다'


'흐름에 약간의 교란 상태를 조성해 주도록 하라. 시스템에 약간의 교란 요인을 추가해 줌으로써 그 흐름에 간섭파를 만들어 내도록 하라'


누군가가 키노트를 제시하면 그에 맞서는 생각이나 이론들이 나온다. 시행착오가 일어난다. 그러다 결국 비상시 규범이 등장한다. 이 경우에서 규범이 새로 생겨나는 과정은 금속을 벼리는 과정과 아주 흡사하다.
자연 상태에서 금속 분자들은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 금속 덩어리를 달구면 무질서한 상태가 좀 정돈된다. 그 금속을 식히면 분자들은 다시 무질서해진다. 그러나 전보다는 무질서한 정도가 약간 덜하다. 그렇게 달궜다 식히는 과정을 제대로 반복하면 금속 분자들은 자기네의 배열 상태를 재편성하면서 질서에 더 가까운 상태로 자리 잡아간다. 이 과정은 본질적으로 금속의 유연성은 그대로 보존해 주면서 부서지기 쉬운 성질만 태워 없앤다.


복잡성 연구자들이 점착성이라 부르는, 강한 신념이 지닌 힘은 심한 정치적 불안 상태가 지속되는 때조차도 시스템을 계속 안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사실 사람들의 감정이 격화되고 목청이 높아질 때 민주주의는 혼란 상태로 떨어지기보다는 교착 상태로 접어드는 경향이 더 두드러진다.


"마르코프 프로세스"
억압적인 모든 사회 시스템 속에서 양극단으로 치우친 양쪽 사람들은 단기적인 안정과 생존이 결국 장기적인 투쟁을 초래한다 할지라도 당장은 안정과 생존을 얻으려 든다. 안정과 생존이라는 단기적인 목표가 이루어질 때 억압당하는 측이나 억압하는 측 모두가 가장 현명한 선택으로 여기는 것은 기존 사회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억압당하는 집단의 일부 사람들은 '최선의 응답'을 하지 않고 흐름에서 뛰쳐나오는 이들이 될 것이고, 그 후에는 당연히 사회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이득을 상실하고 만다. 이것은 사회에서의 추방, 일자리의 상실은 물론이요 심지어는 투옥을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억압자 집단은 이런 사태를 목격하고 자기네가 제시할 수 있는 '최선의 응답'은 현재의 입장을 고수하고 현상을 유지하는 것이라는 결정을 내린다.
사회 시스템은 억압당하는 집단 내에서 충분히 많은 숫자의 '최선의 응답'을 하지 않는 이들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이득 없이 사는 편을 선택하고 시스템에 반기를 들 때라야 비로소 벽에 부딪쳐 작동을 멈춘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갈 때 이득이나 보상을 안겨 주는 최선의 응답은 양보하는 것이다.


해당 정당의 이미지
' 사람들이 한 후보에 관해서 이미 생각하고 있는 것을 재확인시켜 주는 단순한 것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믿고 있는 바를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게 만들 정도로 더 크고 훨씬 더 놀라운 것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확률 무시 현상>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리스크들의 실질적인 발생 가능성은 과대평가하고 비교적 덜 두려워하는 리스크들의 발생 가능성은 과소평가하는 식의 왜곡 현상으로 이끌려가는 것.
  에이즈 같은 것이 이에 해당된다. 에이즈는 몇 초 안에 생명을 빼앗아갈 수 있는 심장 발작보다 진행 속도가 훨씬 느리고 해마다 심장 발작으로 죽는 이들의 숫자가 에이즈로 죽는 이들의 오십 배나 되는데도 그렇다. 우리는 또 광범위한 지역에서 점진적으로 사람들을 죽이는 것들과는 정반대로 단 한방에 많은 사람을 몰살시키는 재난 유형의 리스크 역시 두려워한다.


<관심도 증대 효과 (availability heuristic)>
  우리가 위험한 사건의 이미지를 더 잘 떠올릴 수 있을 때 그것을 더더욱 두려워하는 것.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지나치게 부풀려서 평가하게 만든다. 그것은 사람들의 뇌리에 하나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그 이미지는 두려움이라는 감정과 결부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